반응형

상장지수펀드(ETF) 2

10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상장지수펀드(ETF : Exchange Traded Fund) 주식, 채권, 통화, 원자재 등의 가격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펀드의 지분을 거래소에 상장하여 일반주식처럼 거래토록 한 금융상품 최초의 ETF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에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 국내에서는 2002년 10월 KOSPI 200을 추종하는 KODEX 200과 KOSEF 200 ETF의 매매가 개시됨 국내에서 ETF는 설정을 원하는 기관투자자가 지정 참가회사(증권사)를 통해 설정에 필요한 주식바스켓을 집합투자업자(자산운용사)에 납입함으로써 발행 - 발행된 ETF가 거래소에 상장되면 일반주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거래 유통시장에서는 지정 참가회사 중 1개사 이상이 유동성공급자로 지정되어 ETF의 원활..

7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로봇(robot)과 자문가(advisor)의 합성어 인공지능 알고리즘,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투자자의 투자성향 · 리스크 선호도 · 목표수익률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자문 · 자산운용 등 온라인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비용으로 작용하는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자산관리서비스보다 더 낮은 최소 투자금액과 더 싼 수수료로 소액 자산을 가진 일반 개인도 더 쉽게 접근 운용형태 금융회사의 자문 또는 운용인력이 로보어드바이저의 자산배분 결과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자문(자문형)하거나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일임형) 로보어드바이저가 고객에게 자문하거나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서는 미국이 가장 앞서 나가고 있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