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2

10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속물효과(스눕효과 Snob effect) 속물효과 또는 스눕효과 :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 입지 않는 것처럼 명품 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남 1950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에 의해 스눕(재산과 지위로 거만을 떠는 속물)이 선호하는 브랜드 물품이 일반 구매층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 전시효과 : 속물효과와는 반대로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경우 ▷ 연관검색어 : 기펜재, 밴드웨건..

9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비관측경제(NOE : Non-observed Economy) 합법적이건 불법적이건 모든 경제정 거래에서 발생한 소득을 포함해야 하는 국내총생산(GDP)의 추계 시 이용되는 기초자료와 행정자료가 지하경제나 불법 생산 등을 반영하기가 어려워 누락된 경제활동 비관측경제는 일반적으로 문제 영역(problem areas)에 속하는 활동 때문에 발생 대표적인 문제 영역 - 지하 경제(underground economy) - 은닉 경제(hidden economy) 조세나 사회적 의무의 회피, 근로 안전이나 소비자보호 등 법적 · 행정적 규제에 따른 비용의 회피를 위하여 은밀하게 이루어짐 세무 · 통계당국에 축소 보고되기도 하고 현금거래로만 행해져 아예 누락되기도 함 마약, 장물거래, 성매매 등과 같이 재화 및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