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찰적 실업 2

15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자발적 실업 일할 의사가 있어 고용되기를 원하지만 현재의 임금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일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실업 자발적 실업은 완전고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완전고용 :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현재의 주어진 임금 수준에서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모두 고용되는 상태 완전고용의 상황에서는 비자발적 실업은 전혀 존재하지 않음 자발적 실업이란 완전고용을 가정할 때 경제활동인구에서 고용된 인구를 뺀 나머지를 자발적 실업이라 할 수 있음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모두 고용될 수 없는 불가피한 두 가지의 실업 마찰적 실업 : 현재의 일자리보다 더 나은 일자리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업 구조적 실업 : 특정 산업의 사양화나 최저임금제, 노동조합, 임금 경직성 등 제도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실업 ..

7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마찰적 실업 마찰적 실업 또는 탐색적 실업 : 새로운 일자리를 탐색하거나 이직을 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실업 새로운 일자리를 탐색한다는 것은 구직자와 구인자 사이에 서로 요구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일종의 마찰이 생겼기 때문으로 볼 수 있음 경기침체로 인해 발생한 비자발적 실업이 아닌 자발적 실업이며 이는 경기 변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기적 실업이나 특정 산업의 침체 등으로 발생하는 구조적 실업과는 구분됨 노동시장에서 사람들은 탐색으로 인한 이익이 탐색비용을 초과하는 경우 탐색 행위를 지속하게 됨 예를 들어 구인자와 구직자 간에 고려하고 있는 의중임금의 차이가 크거나 구직자가 높은 임금이 기대된다면 실업기간이 길어지더라도 구직 행위를 지속 구직자들의 노동의 질이 같지 않고, 구인자들이 제공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