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샬의 k 2

20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통화유통속도(velocity of circulation of money) 기본적으로 통화 한 단위가 일정 기간 동안 각종 거래를 매개하기 위해 몇 번 유통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국민경제 전체의 거래규모를 측정할 수는 없으므로 소득이 거래액과 유사하게 변동한다는 가정 하에 연간 국민소득을 통화량으로 나누어 산출 동 지표는 그 명칭과는 달리 시중에 돈이 얼마나 ‘유통’ 되고 있는지 보다는 실물경제 활동에 비해 통화량이 얼마만큼 ‘존재’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음 통화유통속도는 장기적으로 생산의 우회도, 경제주체의 거래 관습 등 경제 구조적인 원인에 의해 결정되나, 단기적으로는 통화 보유의 기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금리, 예상물가상승률의 변화, 경기 변동 등 거시적 요인과 새로운..

7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마샬의 k(Marshallian k) 경제 전체의 명목소득 대비 통화량 보유 비율 어떤 경제에서 일정기간 동안 명목국민소득 : PY 화폐의 유통속도 : V 거래수량설 방정식 : MV = PY 실물거래를 위해 필요한 화폐의 양, 즉 화폐의 수요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도출됨(이 이론은 화폐의 유통속도가 일정함을 전제로 함) 마샬의 k는 화폐 유통속도의 연수와 동일한 값을 갖는 상수에 해당 화폐의 유통속도는 결제 수단의 발전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될 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도 매우 변동이 심하게 나타나므로, 경기가 호황일 때에는 유통속도가 빨라지고 불황일 때는 늦어지는 경기순응적 움직임을 보임 마샬의 k는 아래의 식에 의거 한 나라의 경제규모 대비 통화공급의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