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플레이션 4

15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인플레이션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물가 : 개별 상품의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 지속기간 및 상승폭, 제품의 질적 수준 향상 여부, 정부의 가격통제에 따른 암시장 가격 상승 여부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언제 인플레이션이라고 정의할 것인가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음 통상 연 4~5% 정도의 물가상승률이 관측되면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판단 ▷ 연관검색어 : 디스인플레이선, 디플레이션 2. 일물일가의 법칙 완전경쟁이 이루어질 때 동일한 시기, 동일한 시장에서는 품질이 동일한 상품의 가격이 2개 이상 형성될 수 없다는 법칙 동일한 상품은 어느 시장에서든지 가격이 같아지게 된다는 것인데 제본스(Jebons, W. S.)와 엣지워스(Edgeworth, ..

11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스태그플레이션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경기침체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경기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 현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특히 1970년대 들어 두 번의 유가파동을 겪으면서 실업이 늘어나는 침체기에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 함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내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상승)을 합성한 용어 국민소득의 증가세가 축소되는 경기 침체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상승하므로 국민의 경제적 고통은 크게 늘어남 ▷ 연관검색어 : 디플레이션, 장기침체 2. ..

6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디커플링(decoupling) / 커플링(coupling) 디커플링 탈동조화 어떤 나라나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현상 최근 디커플링의 예로는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가나 유로지역 국가 등이 특히 미국 경제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 주가나 금리, 환율 등 일부 경제 변수의 흐름이 국가 간 또는 특정 국가 내에서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는 현상 국가 간의 경우 : 미국의 주가와 한국의 주가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 한 국가 내에서의 경우 : 주가가 하락함에도 해당국 통화가 강세 현상을 보이는 경우 커플링 동조화 한 나라 또는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세계경제 흐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것 2. 디플레이션(deflation) 물가가 ..

6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디레버리징(deleveraging) 부채를 축소하는 것 미시경제 측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의 대차대조표에서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 경기가 호황일 때 :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레버리지(leverage)가 효과적인 투자기법 경기가 불황일 때 :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를 상환, 정리, 감축하는 디레버리징이 효과적이 투자기법 디레버리징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민간부문에게는 고통스러운 과정인데, 이는 자산을 할인 가격에 매각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손실로 귀결되기 때문 거시경제 측면 경제 전체의 디레버리징은 민간과 정부 등 여러 부문에서의 동시다발적인 부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