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본자본 2

8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변동금리부채권(FRN : Floating Rate Note) 채권은 지급이자 변동 여부에 따라 고정금리부채권(SB)과 변동금리부채권(FRN)으로 구분 변동금리부채권 지급이자율이 시장 실세금리에 연동하여 이자지급 기간마다 변동되는 채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행 통상 금리 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 상승기에는 투자자에게 유리 변동금리부채권의 지급이자율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 기준금리 : 시장실세금리에 연동 가산금리 : 변동금리채 발행자의 신용위험과 기준금리 발행자의 신용위험 차이에 의해 결정 채권발행자 : 금리 상승 가능성이 높아 고정금리부채권 발행이 어려울 경우 변동금리부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

4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기본자본(Tier 1) BIS 자기자본비율의 분자를 구성하는 자기자본 중 보통주자본(CET1 : Common Equity Tier 1)과 기타기본자본(AT1 : Additional Tier 1)을 함께 일컫는 말 바젤II 규제에서 자기자본의 구성 자기자본 보완자본 단기후순위채무 바젤III 손실흡수력이 높은 보통주자본 중심으로 규제자본을 개편하면서 요건을 강화 단기후순위채권을 규제자본에서 제외 기본자본 요건을 보통주자본과 기타기본자본으로 세분화 기본자본비율이 위험가중자산의 6.0% 이상이 되도록 규정 ▷ 연관검색어 : BIS 자기자본비율, 보완자본(Tier 2) 2. 기업 · 개인간(B2C) 지급결제시스템 기업 · 개인간(B2C) 지급결제시스템은 기업간(B2B) 지급결제시스템과는 달리 특정 지급결제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