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공급물가지수 2

23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GDP디플레이터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 GDP를 추계할 때는 생산자물가지수(PPI)나 소비자물가지수(CPI)뿐만 아니라 수출입물가지수, 임금 등 각종 가격지수가 종합적으로 활용 GDP디플레이터는 한 나라 경제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집합물이라 할 GDP의 가격을 측정하므로 모든 물가 요인을 포괄하는 가장 종합적인 물가지수임 소비, 투자, 수입 부문별로 명목GDP를 동일 부문의 실질GDP로 나누면 개별 부문에서의 물가지수(예를 들면 소비디플레이터, 투자디플레이터 등)를 얻을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국내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2. Herstatt 리스크 외환결제 과정에 내재된 리스크 중의 하나로서 외환거래 후 매도 통화를 지급하..

25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국내공급물가지수 - 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의 국내출하품 뿐만 아니라 수출입물가지수의 수입품을 모두 포함하여 가공정도에 따라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로 구분하여 지수를 편제함으로써 물가 파급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지수 기존에 작성했던 가공단계별물가지수(stage-of-processing index)를 서비스 부문까지 확장한 것 조사 대상품목을 각각의 가공단계에 따라 분리하여 원재료지수, 중간재지수 및 최종재지수로 나누어 작성 가공단계별로 가격 변동이 중복 계산될 여지가 줄어듦 소비자물가지수와 포괄범위가 일치하는 최종소비재지수를 이용하여 소비자물가의 변동요인을 수입품과 국산품으로 구분하여 분석이 가능하고 자본재지수는 기업의 투자여건 분석에 활용 가능 - 생산자물가지수 기업 간의 중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