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동향지수 2

1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경기종합지수(CI : Composite Index)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등 개별 경제지표들은 경제활동의 한 측면만을 반영하고 있어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개별 경제지표들을 가공 · 합성하여 경기종합지수를 작성하여 활용함 각 부문별로 경기를 잘 나타내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다음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제거, 진폭의 표준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후 합산하여 하나의 지수로 만든 것 지수의 변동 방향으로 경기변동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고, 지수의 변동 폭으로 경기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 경기에 대한 선 · 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 비교적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데 활용 동행종합지수 : 현재의..

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1.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diffusion index)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 방향만을 파악하는 것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함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 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듦 경기종합지수와 같이 선행 · 동행 · 후행지수로 작성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냄 예컨대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수는 70% 경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