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법」에 의하여 설립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수행하는 통화정책에는 경제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대적 과제가 반영되는 게 보통임
한국은행은 설립 이래
- 1950년대 전란극복과 금융체계 정비
- 1960~70년대 공업화와 성장통화 공급
- 1980~90년대의 물가안정 기반구축과 금융자유화
- 2000년대의 경제의 글로벌화와 금융위기 극복 등 시대가 요구하는 중앙은행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
그동안 여러 차례의 「한국은행법」 개정으로 제도가 정비되어 왔는데 2011년 제8차 개정으로 한국은행의 목적 조항에 물가안정과 함께 금융안정 책무가 명시됨
현행 「한국은행법」은 한국은행의 설립목적을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하고 이 과정에서 금융안정에도 유의하는 것으로 규정함
▷ 연관검색어 : 중앙은행, 금융안정, 물가안정목표제
2. 한시적 근로자
비정규직 근로자 :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는 상시 근로자와 달리 근로 기간이 정해져 있는 계약직, 일용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의 종류
- 한시적 근로자 : 근로계약 기간을 정한 근로자(기간제 근로자) 또는 따로 정하지 않았으나 계약의 반복 갱신으로 계속 일할 수 있는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근로자(비기간제 근로자)
- 기간제 근로자 : 일정 기간의 근로계약 기간을 정하여(구두 또는 묵시적 약속이나 계약을 포함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말하며 계약 기간의 장 ・ 단, 계약 반복 갱신 여부, 계약직 촉탁직 임시직 계절근로자 등 명칭과는 관계가 없음
- 시간제 근로자 : 직장에서 근무하도록 정해진 소정의 근로 시간이 동일 사업장에서 동일 종류의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소정의 근로시간보다 1시간이라도 짧은 근로자로 평소 1주에 36시간 미만 일하기로 정해져 있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됨
- 비전형근로자 : 파견근로자, 용역근로자, 가정 내 근로자, 일일(단기) 근로자 등
- 임시근로자 : 임금근로자로서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
- 고용계약 미설정자 : 일정한 사업(완료 기간이 1년 미만)의 필요에 의해 고용된 경우
▷ 연관검색어 : 정규직/비정규직
3. 한은금융망(BOK-Wire+)
한국은행이 금융기관 간 자금결제를 위하여 1994년 12월부터 가동 운영하고 있는 거액결제시스템으로 금융기관의 콜거래, 외환 및 증권매매 등에 따른 원화자금 결제는 대부분 한은금융망을 이용하여 한국은행에 개설된 당좌예금을 계좌이체하는 방식으로 처리
한은금융망은 금융기관간 원화자금 이체 이외에 한국은행 대출금 지원 및 상환, 국고금 수납 등 한국은행과 금융기관간 자금결제를 처리하고 어음교환시스템, 지로시스템 등 소액결제시스템의 은행간 채권 ・ 채무 결제에도 이용
한은금융망은 실시간총액결제방식에 양자 간 및 다자간 동시결제(차액결제) 방식을 추가한 혼합형결제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결제 과정에서 신용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중 결제유동성도 절약할 수 있음
결제유동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대기관리제도, 일중당좌대출제도 및 일중RP제도, 반일물콜거래제도 등을 운영
2017년 말 현재 19개 국내은행을 포함하여 38개 외국은행 국내지점, 72개 비은행금융기관 등 총 129개 기관이 한은금융망에 참가하고 있음
▷ 연관검색어 : 거액결제시스템, 총액결제시스템, 혼합형결제시스템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7.23 |
---|---|
22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7.22 |
21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7.20 |
21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7.19 |
21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