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본적지출
자본재에 대한 사용 가능 햇수(내용연수)의 연장을 목적으로 한 대수선 또는 개보수나 생산성 또는 생산되는 재화의 질과 양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지출
기계, 설비, 구조물 또는 기타 고정자산에 대한 주요 개조나 증축이 이에 해당하며 총고정자본형성(투자)으로 처리함
▷ 연관검색어 : 국내총투자율
2. 자산건전성 분류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산에 대해 건전성 여부를 분석하여 불건전자산의 발생을 예방하고 이미 발생한 불건전자산에 대하여는 조기 정상화를 촉진함으로써 자산운용의 건전화 도모를 주목적으로 함
금융기관은 감독당국의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에 따라 보유자산의 건전성 상태를 매 분기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의 5단계로 분류하여야 함
1999년 말 이후 해당 여신의 미래 채무상환능력까지도 반영한 새로운 자산건전성 분류제도를 도입함
▷ 연관검색어 : 고정분류여신, 회수의문, 추정손실
3. 자산유동화(securitization)
일반적으로 특수목적기구(special purpose vehicle)가 자산보유자로부터 자산을 양도 ・ 신탁받아 이를 기초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고 해당 유동화자산의 관리 ・ 운용 ・ 처분에 의한 수익이나 차입금으로 유동화증권의 원리금 또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일련의 행위
자산유동화는 자산보유자의 신용과 분리하여 유동화자산 그 자체에서 발생되는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
장점
- 자산보유자의 재무구조 개선
- 자금조달 비용 절감
- 투자자 확대 등
자산유동화증권은 유동화대상 자산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한데 예를 들어 주택담보대출이 기초자산인 경우는 주택저당증권(MBS), 기초자산이 기업 매출채권인 경우에는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이라고 함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의한 유동화증권 발행기관
- 유동화전문회사
- 자산유동화업무를 전업으로 하는 외국법인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신탁업자 등
▷ 연관검색어 : 특수목적기구(SPV), 주택저당증권(MBS)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5.25 |
---|---|
16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5.24 |
16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5.22 |
15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5.21 |
15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