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산세(taxes on production)
현재 국민계정 작성기준인 국민계정체계(SNA)에서의 조세 분류
- 생산세 : 종전 간접세에 해당
- 경상세 : 소득 · 부 등에 해당
- 자본세
생산세의 분류
- 생산물세(taxes on products) : 생산자가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 배달, 판매, 이전 또는 기타 용도로 사용하였을 때 동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해 부과되는 조세로, 재화의 수입이나 비거주자의 거주자에 대한 서비스 공급 등에 부과되는 수입세 및 관세가 포함
- 기타 생산세(other taxes on products) : 기업이 생산에 참여한 결과 부과되는 조세 중 생산물세를 제외한 모든 조세로, 주로 생산에 이용된 토지, 고정자산, 노동 또는 특정 거래나 활동에 대한 조세가 포함
2. 생산유발효과
한 나라에서 각 산업의 생산활동은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최종수요의 변화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생산유발효과라 함
- 예를 들어, 자동차 수출이 1대 증가할 경우 엔진, 타이어와 같은 수많은 중간재가 생산되어야 하고 다시 이들 중간재의 생산을 위해서 냉간압연강재 같은 철강제품, 고무, 타이어코드 등 다른 원료의 생산이 필요
- 자동차의 생산은 아무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많은 산업에까지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생산유발효과는 산업 간의 수급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무한히 계속
생산유발효과는 생산유발계수의 크기로 측정
- 생산유발계수는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하였을 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 산업부문에서 직 ·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생산액의 수준을 의미
- 생산유발계수가 클수록 국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큼
-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의 변동이 국내 각 산업의 산출, 부가가치, 고용 등 생산활동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3. 생산자물가지수(PPI)
국내 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 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
1910년부터 한국은행에서 작성
대상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 동향이 반영된 일반적인 물가 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지수로서의 성격을 가짐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 : 제1차 거래단계의 가격 즉, 생산자가 제품 한 단위당 실제로 수취하는 기초 가격
▷ 연관검색어 : 소비자물가지수(CP), 기초가격
반응형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3일차 경제금융용어 700선 (0) | 2022.03.26 |
---|---|
10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25 |
10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23 |
9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22 |
9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