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완재
두 가지 이상의 재화가 함께 사용됨으로써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
한 재화의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다른 한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는 관계에 있는 재화
소비자 효용의 관점에서 볼 때, 소비자는 보완재 관계에 있는 두 재화를 따로 소비할 때의 효용이 함께 소비할 때의 효용보다 줄어듦
보완재의 예
- 승용차와 휘발유
-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등
▷ 연관검색어 : 대체재
2. 보통주자본(CET1 : Common Equity Tier 1)
보통주자본의 구성
- 보통주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등
특정 증권이 보통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청산 시 최후 순위, 영구적, 청산 시를 제외하고는 상환불가, 재매입, 상환 또는 발행 취소에 대한 기대가 없을 것 등 총 14개 요건을 충족해야 함
바젤III에서는 보통주자본 비율을 위험가중자산의 4.5% 이상이 되도록 규정
3. 보호역주의
국가 간 무역을 제한하는 경제정책
주된 수단
- 수입금지나 수입할당과 같은 직접적인 방법
- 수입상품에 부과하는 관세율 인상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
- 덤핑 규제
- 보조금 지급
-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 환율조작
- 기타 다양한 정부의 규제 등
보호무역주의의 목적 : 수입으로 경쟁이 유발되는 산업의 생산, 유통, 고용 등에 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
- 보호무역주의는 동 정책을 실행하는 국가와 상대국의 소비자와 수출부문의 생산, 고용 등에는 부정적 영향
- 보호무역주의의 순효과는 경제의 성장이나 발전에 부정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어서 선진국의 주도하에 세계적으로 자유무역과 무역장벽을 낮추는 추세를 보여 왔음
- 일부에서 무역수지 흑자국과 적자국이 뚜렷이 구분 · 지속되고 수지 폭도 점점 커지면서 단기적으로 적자국 수입 경쟁 부문의 고용이 심각한 불균형을 보이는 등 부작용도 확대
- 이러한 부작용은 특히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면서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자유무역을 더 이상 확대하는 정책을 제한하고 있으나 G20의 대부분 국가는 보호무역주의의 확산을 경계함
▷ 연관검색어 : 긴급수입제한조치, 슈퍼301조
반응형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10 |
---|---|
8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09 |
84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07 |
83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06 |
8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