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aR(Value at Risk)
주어진 신뢰 수준 하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손실금액’으로 금융기관의 잠재적인 손실을 측정하는 지표
예를 들어 목표기간 1년, 신뢰 수준 95%에서 산출된 VaR가 10억 원이라면 이는 1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손실금액이 10억 원보다 적을 확률이 95%라는 것을 의미함
▷ 연관검색어 : 예상손실
2. VIX
미국 주식시장의 단기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나타내는 지수로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제공되며, 정식 명칭은 CBOE Volatility Index임
VIX는 향후 30일 동안의 S&P 500 지수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로서, 지수의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될 경우 옵션 가격이 높아지는 점에 착안하여 CBOE에 상장된 다양한 행사 가격의 S&P 500 지수 옵션들의 가격을 활용하여 산출됨
VIX는 일반적으로 기초자산 가격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
예를 들어 주가지수가 상승할 때 하락하고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는 상승함
VIX의 상승은 투자자들의 불안심리가 증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공포지수라고도 부름
1993년 Robert E. Whaley 교수의 논문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시장의 변동성과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 주는 주요한 지표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이 외의 대표적인 주식시장 변동성 지수로는 유럽의 VSTOXX 등이 있음
VSTOXX는 유럽의 대표 주가지수인 Euro STOXX의 변동성 지수로 Euro STOXX 50 지수 옵션 가격으로부터 산출되며 Euro Exchange에서 편제 ・ 발표함
우리나라도 KOSPI 200 지수의 변동성 지수인 VKOSPI가 2009년 도입됨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8.10 |
---|---|
23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8.09 |
23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8.08 |
23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8.07 |
23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