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속물효과(스눕효과 Snob effect)
속물효과 또는 스눕효과 :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 입지 않는 것처럼 명품 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남
1950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에 의해 스눕(재산과 지위로 거만을 떠는 속물)이 선호하는 브랜드 물품이 일반 구매층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
전시효과 : 속물효과와는 반대로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경우
▷ 연관검색어 : 기펜재, 밴드웨건효과, 베볼런효과
2.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경기과열 등으로 인해 개인들의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면서 상대적으로 부족해진 재화 및 서비스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생산요소 시장과 생산물 시장 모두에서 초과수요가 발생할 때 특히 분명하게 나타남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는 요인
- 확대재정정책
- 과도한 통화량 증가
- 민간소비나 투자의 갑작스러운 변동에 따른 수요충격 등
예컨대 정부가 침체에 빠진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정부지출을 확대하고 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급격한 확대 재정정 책을 시행하였다면 총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3. 수요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 : 상품의 가격 변화 비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 비율
탄력성은 반응의 크기를 분석하는 데 의미가 있음
충격을 주는 쪽과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을 비교하여
- 같은 경우 : 단위 탄력적
-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이 더 높은 경우 : 탄력적
- 반응하는 쪽의 변화율이 작으면 : 비탄력적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경우
- 한 상품의 가격의 변화 비율과 수요량의 변화 비율이 동일할 경우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이 되며, 이 경우 수요가 단위 탄력적이라고 함
- 수요량의 변화 비율이 가격의 변화 비율보다 작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으면 수요가 비탄력적이라고 함
- 요량의 변화비율이 가격의 변화 비율보다 높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크게 되면 수요가 탄력적이라고 함
▷ 연관검색어 : 공급탄력성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4.03 |
---|---|
110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4.02 |
10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31 |
10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30 |
106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