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로봇(robot)과 자문가(advisor)의 합성어
인공지능 알고리즘,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투자자의 투자성향 · 리스크 선호도 · 목표수익률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자문 · 자산운용 등 온라인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비용으로 작용하는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자산관리서비스보다 더 낮은 최소 투자금액과 더 싼 수수료로 소액 자산을 가진 일반 개인도 더 쉽게 접근
운용형태
- 금융회사의 자문 또는 운용인력이 로보어드바이저의 자산배분 결과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자문(자문형)하거나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일임형)
- 로보어드바이저가 고객에게 자문하거나 고객 자산을 직접 운용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서는 미국이 가장 앞서 나가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12월 현재 금융기관의 28개 알고리즘이 코스콤(KOSCOM)의 제1, 2차 테스트베드를 통과하여 은행, 증권사 및 투자자문사 등 총 19개 금융기관이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제공
▷ 연관검색어 : 빅데이터, 상장지수펀드(ETF)
2.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
리디노미네이션 또는 '화폐단위 변경'
구매력이 다른 새로운 화폐단위를 만들어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된 가격, 증권의 액면가, 예금 · 채권 · 채무 등 일체의 금액을 법정비율(교환비율)에 따라 일률적으로 조정하여 새로운 화폐단위로 표기 및 호칭하는 것
리디노미네이션의 목적
-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재화와 서비스의 교환가치를 화폐로 나타내는 숫자가 많아서 초래되는 계산 및 회계기장 등의 불편 해소
- 자국 통화의 대외적 위상을 높일 목적으로 시행
우리나라 사례
- 1953년의 제1차 통화조치에 따라 100원(圓)이 1환(圜)으로 변경
- 1962년의 제2차 통화조치에 따라 10환(圜)이 1원으로 변경
반응형
'공부해요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2.23 |
---|---|
71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2.22 |
69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2.20 |
68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2.19 |
67일차 경제금융용어 공부 (0) | 2022.02.18 |